광견병 증상 이 궁금하신가요? 개한테 물렸을때 어느 병원 을 가는 게 좋을까요? 애완동물을 키우게 되면 물리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광견병 은 무엇이며 증상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광견병 이란 ?
광견병 증상 을 보기 전에 우선 광견병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광견병 이란 광견병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동물에게 사람이 물려서 생기는 질병입니다. 뇌에 염증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이며 인수공통전염병입니다. 사람에게는 제 3군 법정 전염병이며 가축에게는 제2종 법정전염병입니다.
질병의 병원체는 광견병 (공수병 ) 바이러스 (RNA) 로서 생긴 모양이 총알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잠복 기간은 보통 1개월에서 6개월 으로 긴 것이 특징이며 많게는 1년을 넘기는 경우도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전파 경로
광견병 전파 경로를 보면 도시 형 과 삼림 형이 있습니다. 도시 형 광견병은 감염된 개가 다른 고양이나 개 , 소, 말 , 사람을 물어서 연속적으로 전파를 시킵니다. 삼림 형 광견병은 감염된 야생 동물이 가축들과 싸워서 물거나 할퀴어서 생긴 상처를 통해서 전파를 시킵니다. 개를 포함 감염된 가축이 사람을 물게 되면 물리거나 할퀸 상처를 통해서 전파를 시킵니다.
치명률
광견병 환자는 전세계에서 매년 약 5만명 가까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감염이 되면 혈뇌장벽을 바이러스가 뚫어 면역 체계를 정지 시키게 되면 바이러스는 거의 100%의 상태로 활동을 하게 됩니다. 그 후 에는 신경을 공격하게 되는데요. 잠복기가 끝난 후 증세가 발현이 되면 치명률이 거의 100% 가까운 무서운 질병입니다.
매개체
광견병 이란 이름이 붙은 이유는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동물이 개 이기 때문에 붙은 이름입니다. 그러나 사람을 포함해서 거의 모든 포유 동물이 이 병의 매개체가 될 수 있습니다.
외국의 사례들과 숙주를 보면 너구리, 라쿤, 길 고양이, 코요테, 자칼, 늑대,여우 도 흔한숙주이며그외에도 박쥐나 원숭이 , 스컹크, 오소리, 족제비 등이 있습니다. 흔하지는 않지만 쥐 또한 광견병 매개체가 된 사례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기타 돼지 나 소 , 양, 말 등도 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

광견병 증상
광견병 증상 을 알아볼까요?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개 의 초기 증상 입니다. 우선 쉽게 흥분하고 어두운 곳에 잘 숨으며 사람이나 동물을 공격하게 됩니다.
또한 과민해지고 동공이 확장되며 성적 흥분을 느끼기도 합니다. 침을 많이 흘리거나 눈이 충혈되기도 하며 귀와 꼬리가 뻣뻣해지기도 합니다. 감염 후기에는 공격성이 더욱 증가하며 흙이나 풀, 돌 등의 이물을 먹기도 하며 근육 경련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또한 연하 곤란을 보이고 거품이 섞인 침을 흘리게 됩니다.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며 대부분 10일이내에 죽게 됩니다.
소 증상
기타 소의 증상을 보면 소 도 마찬가지로 크게 흥분을 하고 공격성을 나타냅니다. 또한 이를 갈고 침을 많이 흘리는데요. 목에 무엇인가 걸린 것 같은 이물감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감염 후기에는 뒷다리 마비 증상을 보이며 대부분 3일에서 6일 안에 폐사를 하게 됩니다.
공수병
공수병 은 광견병에 걸린 동물에서 사람에게 전파가 되며 감염을 일으키게 됩니다. 광견병에 걸린 개 나 고양이 , 너구리, 여우 등의 타액(침) 이 원인입니다.
교상 (물리거나 할퀸상처) 으로 타액(침) 이 사람이나 다른 동물에게 전해지면서 일어납니다. 그러나 이외에도 타액( 침) 에 의한 눈, 코, 입의 오염 또는 각막이식 등을 통해서도 전파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공수병 증상
공수병 증상 을 알아볼까요? 우선 초기 증상은 발열 과 두통 , 무기력 감, 소화기 이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침범 된 부위의 피부가 아프거나 저린 증상 쑤시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인격 및 인지 능력의 변화가 생길 수 있으며 흥분을 하거나 불안한 증상. 우울한 증상이 발생합니다. 그 후 진행 과정에 따라서 음식을 보기만 해도 근육 경련이 일어나며 침을 많이 흘리게 됩니다.
격노 형과 마비 형으로 나누어지는데요, 격노 형의 특징은 80%정도가 물을 두려워하는증상 이 나타납니다. 그 외에 안절부절못하며 섬망증상도 보이게 됩니다. 약 20%정도는 마비 형 증상을 보이며 경련, 마비, 혼수 상태, 호흡근마비 등으로 사망을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개한테 물렸을때 어느 병원
개한테 물렸을때 어느 병원 을 가야 할까요? 응급실 , 종합병원 또는 정형외과 로 가는게 좋습니다. 개의 입안에는 수많은 세균들이 있기 때문에 개한테 물리게 되면 광견병이 아니더라도 세균감염에 대한 위험성이 매우 큽니다.
또한 인간의 치아보다 더욱더 날카롭고 치악력이 강하기 때문에 물렸을 때 큰 상처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처들은 확실하게 대처하지 않으면 훗날 큰 흉터로 남을 수도 있습니다.
감염이 된 동물에 물렸을 경우에는 물린 즉시 상처 부위를 수압이 강한 물로 씻어낸 후 비눗물로 깨끗이 닦아냅니다. 그 후 최대한 빨리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내 사례
개한테 물렸다고 무조건 광견병에 걸린다는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특히 현대에 들어와서 우리나라는 광견병에 대한 사고가 거의 없는 편인데요. 광견병 위험 지역이 아닌 이상 일반적으로 주인이 있는 개는 광견병에 걸릴 소지가 거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2005년 이후로 사람에게 발병한 케이스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지만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광견병이 아니더라도 다른 감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개를 포함 동물에게 물리면 깨끗한 물에 세척 후 병원에 방문해야 합니다. 외국에서 물렸다면 지체 없이 최대한 빠른 시간에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