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끊는 방법 ? ” 이제는 진짜 끊고 싶다 ” 술을 마시고 후회했던 날들이 몇 번이나 있었나요? 어렵지만 제대로 된 방법을 실천하면 누구나 술과 건강하게 이별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금주 조언이 아닌 효과 있는 실전 전략 7 가지를 소개합니다.
술끊는 방법
1. 왜 끊고 싶은지 를 명확히 적어라 입니다. 술을 끊으려는 이유를 종이에 직접 써보시길 바랍니다. ‘ 건강이 안 좋아져서’ , 가족과의 관계가 나빠져서’ , ‘ 하는일에 술 때문에 지장이 생겨서’ 등 그 이유가 나만의 것이 되어야 합니다.
단순히 술이 안 좋으니까 끊자 가 아니라 나에게 진짜 중요한 이유를 찾는 것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입니다. 다 적었다면 눈에 잘 띄는 곳에 붙여둡니다. 예를 들어 거실 이나 벽, 방문,지갑 안, 핸드폰 잠금 화면 등 입니다.

주변 환경을 바꿔라
2. 주변 환경을 바꿔야 합니다. 술을 마시게 되는 상황은 대부분 반복되는 환경에서 나옵니다. 퇴근 후 혼자 있는 시간 또는 친구들과의 약속 , 스트레스 받는 날 밤 등 입니다. 이때 마다 술이 떠오른다면 환경을 바꾸는 것이 중요합니다.
* 술자리를 줄이고 다른 만남 으로 대체합니다. 예를 들어 카페,산책,독서 모임 등 입니다. * 혼술 대신 유튜브 운동 보면서 홈트 하기 입니다. * 술 냉장고 를 물 냉장고로 바꿔 놓습니다. 별거 아닌 것 같지만 작은 변화가 큰 결과를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한잔의 함정을 조심하라
3. 한잔 정도는 괜찮겠지 의 함정을 조심해야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실패하는 이유는 한잔이 한병이 되기 때문입니다. 금주는 흑백 논리로 접근해야 하는데요. 0잔 아니면 1병 이라는 걸 기억 해야 합니다.
조금이라도 마시면 뇌가 보상을 기억하고 다시 찾게 됩니다. 뇌는 한잔도 안마셨다는 상태를 스스로 자랑스러워할 때 변하기 시작합니다.
술끊는 방법 . 금주 일기
4. 금주 일기를 씁니다. 술을 안 마신 날에는 하루를 어떻게 보냈는지 또한 오늘 하루 어떤 기분이였는지 간단하게 적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하루에 딱 1줄만 써도 괜찮습니다.
중요한 건 기록하고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면 4월 20일 수요일 : 회사 동료들과 회식을 했지만 난 술을 안마시고 탄산수로 버텨냈다 .
속으로 참 뿌듯했다. 4월 25일 술을 안마셔서 인지 우울했지만 운동을 하고 나니 많이 나아졌다. 이런 기록들은 나중에 큰 자산이 됩니다. 술 때문에 다시 흔들릴 때 나를 지켜주는 방패가 된답니다.
믿을 수 있는 한 사람
술끊는 방법 5. 도움을 받을 사람을 정해라 입니다. 술은 혼자 끊는 건 매우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변에 믿을 수 있는 한 사람에게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 나 술을 끊고 싶다. 나중에 내가 흔들릴 때 네가 한 번만 잡아줘” 이와 비슷하게 강력한 나의 의지를 어필하고 도움을 청하는 것입니다. 친구든, 가족이든 , 온라인 커뮤니티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강력한 지지 기반이 됩니다.
나를 위한 보상
6. 나를 위한 작은 보상을 만들어라 입니다. 금주를 잘한 날 나 스스로에게 보상을 주는 것 입니다. 이렇게 하면 뇌는 술 말고도 즐거운 게 많다는 걸 배우게 됩니다.
1일 성공을 하면 – 좋아하는 음식 먹기 . 3일 성공하면 – 영화 보기 . 7일 성공하면 – 티셔츠와 바지 사기 . 30일 성공하면 – 여행 가기 등 이렇게 보상 계획을 짜보시길 바랍니다.
나는 술을 안마시는 사람
7. 누군가 물어보면 나는 술을 안마시는 사람 이라고 말해라 입니다. ” 지금은 금주 중 ” 입니다. 라는 말보다 ” 저는 술을 안마셔요 “ 라고 말하는 겁니다. 이렇게 말을 하게 되면 뇌는 우리가 내뱉은 말에 영향을 받습니다.
스스로를 금주 중인 사람이 아니라 술을 안마시는 사람으로 정체화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게 자주 하다보면 그 말이 점점 현실이 됩니다.
당신은 절대 혼자가 아닙니다
“당신은 절대 혼자가 아닙니다” 금주는 단순한 결심이 아니라 새로운 삶의 방식 을 만드는 과정인데요. 물론 처음에는 불편하고 지루하고 힘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루, 이틀. . . 한 달 , 세 달 , 1년이 지나게 되면 생각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지금 여기까지 이 글을 읽고 있다는 것 만으로도 당신은 이미 절반을 넘은 겁니다. 오늘이 금주의 첫날이 되길 바랍니다. 화이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