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미국산 비교 를 해볼까 하는데요. 한우는 대한민국에서 생산되는 최고 수준의 소고기 입니다. 요즘은 수입산도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데요. 그중에 미국산 소고기 등급표 를알아보고 한우와 미국산 소고기 를 비교해보겠습니다.
한우
한우 미국산 비교 를 하기 전에 한우부터 설명을 하자면 한우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고유의 가축입니다. 약 2000년 전부터 농경, 짐운반용, 고기의 이용, 무역품으로 이용 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측을 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농사를 지을 때 소를 이용했지만 현대 시대에 들어서면서 이제 더 이상 소를 이용해서 농사를 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어졌습니다.

인공유
농가에도 기계가 들어오면서 현대화 되었기 때문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지금은 거의 소고기를 얻기 위해 사육을 하는 편입니다. 인공유의 개발로 인해 사육 기간도 종전보다 앞당기게 되었습니다. 현재 토종 한우는 털 색깔에 따라 황소, 칡소, 흑소로 나누어집니다.
옛날에는 소 한 마리는 농가의 큰 재산으로 귀중하게 생각했었답니다. 또한 한 때는 지역 축제로 소 싸움이 유명하기도 했었습니다.
한우 특징
한우를 자세히 살펴보면 암소의 몸무게는 약 300kg정도이며 수소 의 경우에는 약 420kg 정도입니다. 크기는 지방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요. 제일 작은 체구를 가진 소는 대부분 남부 지방에 있으며 중부를 거쳐 북부 지방으로 갈수록 소의 크기가 커진답니다. 한우의 특징은 우선 성격이 온순하며 체질이 건강하여 병에 잘 걸리지 않습니다.
한우 장 단점
또한 다리와 발굽이 튼튼하고 동작도 굼뜨지 않기 때문에 일을 잘하는데요.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견디는 편이며 관리만 잘해주면 번식력도 좋은 편 입니다. 그리고 피부도 튼튼하기 때문에 좋은 가죽을 생산하는데 있어 장점이 됩니다.
단점은 체격이 고르지 못한 것이 아쉬운 점이며 특히 앞쪽보다 뒷 몸이 약해서 다리와 발굽의 모양이 좋지 않답니다. 다른 소에 비해 젖꼭지도 작은 것이 결점입니다.
한우등급
1990년대 등급제 도입을 하였으며 국내산 소고기의 등급은 각 평가 기준을 합산한 등급으로 나눠지며 한우1++ 등급 (투뿔, bms등급 병행 표기) 1+등급(원뿔) 1등급, 2등급,3 등급 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육우 또한 한우와 같은 등급의 기준이 적용됩니다.
등급은 크게 육량 등급과 육질 등급으로 나누어지며 육질 중에서도 흔히 말하는 마블링 (근육내지방)이 유명합니다. 1++등급, 1+등급, 1등급,2등급, 3등급 으로 나누어집니다. 그 외에도 성숙도와 조직감, 고기의 색깔, 지방색에 따른 등급은 1+등급, 1등급, 2등급, 3등급 으로 나누어집니다.
육우
현재 한우가 등록되어있는 지역으로는 홍천한우, 횡성한우, 고흥한우, 함평한우, 영광한우 가 등록되어있습니다. 한우의 경우는 보통 30개월에서 36개월 사이의 소를 도축 하는데요. (육우는 24개월 내외)1++ 등급은 상당히 고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보통 우리가 먹는 소고기가 전부 한우라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정육점에 보면 육우라고 써 있는 것도 많이 보셨을 텐 데요, 한우와 달리 육우는 성장 속도가 빠르고 가격도 상대적으로 한우에 비해 저렴한 편입니다.
한우 맛과 가성비
한우 맛의 특징은 육우에 비해 육질이 좋으며 고소한 맛이 난다는 것 이 통설 입니다. 또한 살에도 진한 향이 녹아있기 때문에 비슷한 등급의 수입산 소고기나 육우의 맛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한국식 요리에 잘 어울리며 탕 요리에도 잘 어울립니다.
한우와 미국산 비교를 해보면 단점은 미국산과 호주산 소고기에 비해 비싼 가격 이 가장 큰 단점입니다. 특히 서양식 조리법인 스테이크 등은 수입산도 맛이 괜찮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성비가 떨어진답니다.
미국 소고기 특징
미국 에서 사육하는 육우의 수는 3100만 마리 정도이며 많은 지역에서 다양한 종류의 소가 목축 되고 있습니다. 수가 많은 만큼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며 품종을 교배한 잡종 또한 많이 키우고 있습니다.
미국의 식용 소는 애버딘 앵거스 품종인데요. 원래는 영국 스코틀랜드가 원산지입니다. 미국의 초기 이민자들은 여러가지 종류의 소를 키웠는데 1970년대에 미국에 앵거스 품종이 도입이 되었습니다.
애버딘 앵거스
다른 품종에 비해 양질의 좋은 고기를 얻을 수 있으며 마블링 또한 좋아서 그 뒤로 지금까지 압도적으로 많이 키우는 종이 되었답니다. 앵거스는 털 색깔에 따라 검은소는 블랙 앵거스 붉은소는 레드 앵거스 로 나눠지게 됩니다. 그러나 둘 중에는 블랙 앵거스가 비율이 높습니다. 그 외에 와규 소도 키우지만 비중이 크지는 않은 편 입니다.

미국산 소고기 등급표 – 프라임 , 초이스 등급
미국 소의 등급은 미국 농무부 (usda)로 부터 등급을 받아야 하는데요, 등급은 총 8개 로 나누어 져있습니다. 첫 번째 프라임등급 소 중에서 가장 젋은 소이며 마블링도 가장 풍부합니다. 또한 소고기중 3%만 생산하기 때문에 가격이 엄청 비쌉니다.
두 번째는 초이스 등급이며 전체 소고기의 50% 이상을 차지하며 프라임에 비해 마블링은 적지만 시중에서 판매하는 대부분의 미국산 소고기는 초이스 등급이랍니다.
셀렉트 , 스탠다드 , 커머셜 , 유틸리티 등급
세 번째는 셀렉트 등급으로 등급상 3번째 이지만 마블링이 매우 적으며 인기가 많은편이 아닙니다. 그 외에 나머지 5개 등급은 일반인에게 인지도가 거의 없는 등급이다. 네 번째 스탠다드 등급 사육 기간은 30개월이며 등급 검사를 받지 않은 소고기입니다.
다섯 번째 커머셜 등급 사육 기간은 30개월 이상이며 마찬가지로 등급 검사를 받지 않는 소고기입니다. 여섯 번째 유틸리티 등급은 나이가 많은 소입니다. 고기 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가공육으로 사용되면 매우 저렴합니다.
커터 , 캐너 등급
일곱 번째 커터 등급은 역시 나이가 많은 소이며 특징은 많이 질긴 편입니다. 가공육 또는 다짐 육으로 사용됩니다. 마지막으로 캐너 등급은 나이가 많은 소이며 소고기 중에서 가장 질이 떨어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통조림 용 또는 가공 용으로 사용이되며 특유의 누린내가 심해서 음식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주로 동물의 사료용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한우 미국산 비교
현재 우리나라에 수입되는 등급은 프라임과 초이스 등급이 수입 되고 있으며 미국 소의 맛은 누린내가 적으며 식감이 매끄러운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마블링이 과하지 않아도 한우에 비해 육질이 괜찮은 편입니다.
한우와 미국산 소고기를 비교하자면 미국산 소고기는 담백하고 풍미가 깔끔 한편이며 식감이 묵직하게 느껴진답니다. 한우는 씹히는 식감이 찰 지게 씹히며 기름기에서 나오는 감칠맛이 특징입니다. 곧 추석인데요 추석선물 로 한우를 선물하는 것은 어떨까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